본문 바로가기

건강관리

장상론 - 폐 (4)

반응형

폐는 호흡을 담당하는 주요 기관으로, 산소를 들이 마시고 이산화탄소를 내뿜는 역할을 한다.   산소를 들이 마시면서 산소는 폐포를 통해 혈액으로 전달되고, 혈액 내 이산화탄소는 폐포를 통해 배출된다.  폐는 오행 중에서 금에 해당되며, 가을을 말하고, 우울함을 뜻한다.  폐가 약해지거나 결핵 같은 병이 오면 자꾸 한숨을 쉬고 아무 이유 없이 우울해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폐는 호흡을 주관한다.  사람이 생명활동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에너지 (진기)를 각 기간에 보낸다.  폐는 숙강기능을 하는데 숙강기능이란 폐의 생리적인 중요한 기능 중의 하나로, 기운을 맑게 정리하고, 아래로 내려주는 작용을 의미한다.   이는 호흡, 기의 순환, 체액대사 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숙강에 있어서 '숙' () 은 몸의 기운을 맑게 정리해 주는 역할을 하고, 이를 통해 몸 안의 탁한 기운을 제거하고 깨끗한 기운을 유지한다.  숙강에 있어서 '강' () 은 기운을 위에서 아래로 내려보내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이렇게 해야 호흡이 원활해지고, 신체의 기의 순환이 원활해진다고 보는 것이다.  

숙강기능의 주요 역할로는
1) 호흡조절 : 들이마신 공기를 폐에서 정리하고 (숙), 폐를 통해 기운을 아래로 내려보내 (강) 호흡이 자연스럷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2) 수액(체액) 대사 조절 : 몸의 수분을 조절하는 기능을 하며, 불필요한 수분을 소변이나 땀으로 배출한다.

3) 기혈 순환 유지 : 기운을 적절하게 정리하고 아래로 내려줌으로써 장부의 기능이 조화를 이루도록 한다.

4) 면역기능강화 : 폐의 기운이 강하면 외부에서 들어오는 병원균, 바이러스 등을 막아 감기나 호흡기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숙의 기능이 약해지면 탁한 기운을 배출하게 된다.  기침, 가래, 비염, 천식 등 호흡기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강의 기능이 저하되면, 기운이 아래로 내려가지 않게 된다.  그리하여 가슴이 답답하고, 숨이 차거나 숨이 짧아지는 증상과 마른기침이 난다.

숙강기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도라지, 배, 생강, 대추, 귤껍질 같은 것을 복용하는 게 좋, 운동으로는 깊은 복식 호흡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는게 도움이 된다.

폐는 상부의 기관이며, 군주인 심장을 보조하는 기능을 하며, 모두 몸의 내부와 외부환경이 기를 주고받는 통로인 피부, 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폐는 피부와 밀접한 관련이 있고, 폐가 약한 사람은 피부가 약해지며, 피부에 핏기가 없어 까칠해진다.  흡연을 하면 피부가 좋지 않다는 설은 흡연이 폐에 미치는 영향 때문이다. 

 

'건강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상론 - 심포 (6)  (0) 2025.03.18
장상론 - 신장(5)  (0) 2025.03.17
장상론 : 비장 (spleen) (3)  (0) 2025.03.16
장상론 : 심장 (2)  (0) 2025.03.16
장상론 : 간 (1)  (0) 2025.0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