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관리

장상론 : 간 (1)

반응형

장상론은 인체내에 있는 내장의 총칭에 관한 이론을 말한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오장 육부를 말한다. 여기서 () 내경에서 저장한다 뜻이며, () 내경에서 창고, 뜻으로, 사람과 사물이 들어가고 나올 있으나 오래 머물수 없는 것으로 보고 있다.

오장은 음에 속하는 것으로, 심, 비, 신, 폐, 간 : 5가지를 말하는 것으로  정, 기, 혈, 진액 등을 만들고 저장하는 것이다

육부는 양에 속하는 것으로 위, 소장, 대장, 방광, 삼초, 담 이  여섯 가지를 말하는 것으로 육부는 하늘의 기운이 만드는 것으로 배출은 하되, 저장은 하지 않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들은 오장의 더러운 기운을 받아, ‘소화시키고 전달하는 부’ 라고 한다.

 

오장육부의 기능은  각각의 오행이 가지는 속성과 비슷하다.  예를 들면 금은 오장 폐에 해당하고 수는 신장에 해당하는데 금생수라 하여 폐가 신장의 기능을 도와 준다.   신장의 기능이 떨어지게 되면 숨을 자꾸 헐떡거리게 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또한 화는 심장, 소장에 해당하고, 토는 비장, 위장에 해당하는데 화생토라 하여 심열증이 오면 비장, 위장에도 열을 돋우어 식욕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장상론

육장은 : 간, 심장, 비장, 폐, 신장, 심포 (마음보) 등이 있는데 오늘은 간에 대하여 살펴보자 

 

간은 목의 기운에 해당하며, 간이 피로하면 눈이 충혈되고 근육이 피곤해진다.   한의학에서는 어떤 일을 계획하고 결단하는 것이 간과 관련 있다고 설명 하고 있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대범하게 일을 저지르는 사람을 보고 ‘와 사람  간이 크다’ 라고 이야기 한다. 이것이 여기서 나온 이야기이다.  흥분하거나 술을 마시면 일시적으로 판단력이 흐려지고 평소보다 과격해지는데 이는 간과 담의 기가 실증 상태에 빠진 것을 의미 한다.   간은 피를 저장, 순환하는 역활을 하고 피의 양을 조절하고, 힘줄과 뼈마디의 운동 기능을 주관하고 눈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손톱, 발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간을 종종 ‘장군의 기간 (organ) ’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방어 해독의 기능을 담당 하기 때문이다.  한의학에서는 간의 기 (energy)가 좋으면 시력이 좋고 간의 기운이 안 좋으면 자꾸 피로해지고 충혈되고 부으면서 눈꼽이 자주 낀다고 보고 있다.  또한 간의 기(energy)가 부족하면 손, 발톱이 얇아지고 손톱의 색깔에 핏기가 없어지며 움푹 패는 증세도 나타나는 것으로 진단한다.

'건강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상론 : 비장 (spleen) (3)  (0) 2025.03.16
장상론 : 심장 (2)  (0) 2025.03.16
양배추의 효능  (2) 2025.03.13
양파의 효능과 부작용  (0) 2025.03.12
오행론  (0) 2025.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