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Artificial Intelligence)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는 과연 무엇을 생각하면서 살고 있을까? 사실 거의 아무 생각도 하지 않고 인터넷 웹 서핑 (web surfing) 으로 많은 정보를 수집해서 많은 내용들을 지식으로 받아들이고 있고 얼마 지나지 않아서 거의 다 잊어 버리곤 한다.
미국의 유명한 저자 Daniel H. Pink 는 정보는 우리 삶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그것 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인간의 뇌 속에 있는 생각이라는 것을 통해서 나오는 지혜, 예술성, 창의성, 혁신성 등을 근거로 해서 이야기를 만들수 있는 스토리 텔링(story telling) 이라는 것이다. 우리의 삶 속에서 정보(information)는 인터넷으로 20-30 초면 찾을수 있지만, 우리가 스토리를 하나 구성하고 만들려면 무척 오랜 시간이 걸린다. 예를 들면 시를 쓴다든지, 소설, 영화 각본, 문학 평론 등을 쓸려면 엄청난 시간과 노력과 생각과 정보 수집과 또 모든 내용과 사실들을 모아서 시대적, 환경적, 현실적 내용들을 고려해서 글을 써야 한다는 것이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우리는 생각하고 또 생각하고, 사실에 기초를 둔 검증을 거치고 또 거치고, 소설을 쓴다 하더라도 모든 인물들과 그 내용들이 어느 시대에 맞는지, 의상은 어떠했는지, 그 시대의 배경은 어떠했는지 우리는 검증하고 또 체크해야 한다. 물론 AI 가 시대적 배경, 의상, 건축 양식 등등의 정보는 제공 해 줄수 있으나, 사람들의 감정, 생각, 사고 능력, 도덕 기준, 남녀 역활, 가정 윤리, 사회 질서 또한 사람들의 예술성과, 창의성, 혁신적 생각, 지혜등을 제공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결론적으로 우리는 우리가 가지고 있는 지식이나 정보를 가지고 좋은 이야기를 만들지 못하면 그것은 죽은 지식이나 마찬가지이다. 왜냐하면 생각하고 사고하고, 판단하고, 선과 악을 구별할 수 있는 능력은 오직 인간만이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스토리 텔러 (Story teller) 가 될 수 있는 능력은 AI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 에게는 매우 중요하며 특히 우리의 삶을 더 풍성하게 해 줄 수 있다.
여러분의 자녀들을 AI 시대에 감성적이고 지성적이고 창의적으로 키우고 싶다면 다음의 내용들을 제안하고 싶다.
1) 책을 많이 읽혀라
2) 책을 읽은후 반드시 그 내용을 재구성 (reconstruct) 하게 해서 말하도록 하라. 이것이 스토리 구성의 기초이다
3) 재구성 된 내용들을 노트에 옮겨 적은후 부모나 친구나 할머니, 할아버지 등에게 다시 이야기 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라
4) 평가의 시간을 가진 후 자녀들에게 피드백을 주고 잘한 부분에 대해 꼭 칭찬을 하도록 하라. 자녀들은 부모의 칭찬에 목말라 하고 있다. 절대로 자녀들에게 부정적인 이야기는 하지 말아라. 이것은 단지 글을 읽고 자녀들의 생각을 재구성하여 이야기 하는 것이기 때문에 맞고 틀리고, 옳고 그른 것이 없다. 절대 어른들의 기준에 맞추어 평가 하지 말아라.
이러한 일련의 학습들이 자녀들을 창의적이고 혁신적이고 전인격적인 인간으로 성숙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다.
정보는 매우 싸다 (information is cheap). 그러나 그 정보를 바탕으로 한 지혜, 예술성, 창의성, 혁신적 생각들은 우리의 직장에서나, 사회에서나, 가정에서 무척 진귀하고 값진 것이다.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botics (로봇공학) (2) | 2025.03.15 |
---|---|
나노공학 (Nanotechnology) (1) | 2025.03.14 |
미래 교육(인공지능, 양자 컴퓨팅, 바이오 테크놀로지) (2) | 2025.03.13 |
대구광역시 유아학비 지원 신청방법, 액수 (0) | 2025.03.05 |
Future Education (미래교육) (2) | 2025.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