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관리

장상론- (육부 - 위, 대장)

반응형

장상론은 오장육부를 말하는데 오장은 간 (liver), 심장(heart), 비장(spleen), 폐(lungs), 신장(kidnesys) 을 말하며, 간은 혈액 저장 및 해독 기능을 담당하고, 심장은 혈액을 순환시키고 정신을 주관한다.  비장은 소화 및 영양분을 운반하며, 폐는 호흡과 기운을 조절한다.  신장은 사람의 ()을 저장하고 생식 및 성장 조절에 관여한다.  오장에는 들어가지 않지만 심장을 둘러싸고 있는 막을 심포라고 부르는데 이 심포가 6개의 장기를 말할 때는 6 장에 해당된다.  위에서 언급했다시피 오장에서는 이 심포가 제외된다. 심포는 사람이 가진 기질이나 의식 작용과 관련이 많다.  

육부는 담, 소장, 위, 대장, 방광, 삼포 등을 들 수 있는데 저번 포스팅에서는 담과 소장을 소개해 드렸고, 오늘은 위와 대장에 관해 말씀드리고자 한다.

 

1) 위 : 위는 토의 기운에 해당되며, 비장과 표리관계에 있다.  토의 기운은 후덕하고 포용적인 기운을 가진다.  위의 역할은 음식물을 잘게 부수고 분해하여 이를 소화시키는 역할을 하며, 비는 이를 전신에 공급하는데 기여하는 역할을 한다.  우리가 흔히 기분이 좋지 않으면 '비위가 상한다'라는 표현을 쓰거나 지나치게 냄새가 좋지 않은 것을 맡으면 '비위가 상하다'라는 표현을 쓴다.  모든 것들을 잘 참는 사람을 '비위 좋은 사람'이라는 표현도 여기서 나오는 것이다.

 

2) 대장: 금의 에너지를 가지고 있고, 폐와 표리 관계에 있고 생리적, 병리적으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  소장에서 소화 흡수된 음식물의 찌꺼기를 수분과 일부 물질을 흡수한 후 대변으로 만들어 밖으로 내보는 역할을 한다.  대장을 '전도의 기관'이라고도 하는데 전도는 전달하고 인도한다는 뜻으로 음식물 찌꺼기와 대변을 밖으로 나가도록 하는 통로라는 뜻이다.

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