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방광: 방광은 수의 기운을 가지고 있고 신장과 표리 관계에 있다. 소변을 저장했다가 내보는 기능을 한다. '주도의 기관' 이라 불리는데 여기서 주도란 물 가운데 모래톱처럼 생긴 장소를 말하는데 방광은 소변이 모이는 곳이다.
2) 삼초 : 장기라기 보다는 (상초, 중초, 하초 같은 장기들) 우리 몸을 조절하는 스위치 같은 역활을 한다고 보면 된다. 즉 몸속에서 일어나는 총체적인 에너지 흐름을 설명하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 여기서 '초' 는 '태우다' 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 상초는 먹는것 (입, 식도) 과 관련이 있으며, 폐, 심, 심포에 해당되고
- 중초는 소화하는 것 (위, 소장) 과 관련 되고, 비장, 위에 해당된다.
- 하초는 배설하는것 (대장, 항문) 과 관련이 있으며 간, 방광, 소장, 대장에 해당 된다.
'건강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의 효능과 부작용 (0) | 2025.03.29 |
---|---|
청경채의 주요 효능과 섭취시 주의사항 (0) | 2025.03.28 |
장상론- (육부 - 위, 대장) (0) | 2025.03.25 |
무의 효능과 섭취방법 (0) | 2025.03.25 |
생강의 효능(발산작용과 온리작용)과 먹는 방법 (4) | 2025.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