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성장할때는 감히 자녀가 부모에게 대꾸를 한다든지 말대답을 하는 것은 대체적으로 용서되지 않았다. 특히 나는 경상도 지방 시골에서 성장해서 더 더욱 그런 것은 있을수 없는 일이었다. 마을에서 어르신들을 만나면 깍듯하게 인사를 해야 했고, 어르신들과는 감히 눈도 못 마주치는 세대에 살았다. 하지만 요즈음은 부모가 자녀들의 눈치를 보고, 자녀들의 언어와 태도에 따라 어찌할줄 몰라하고 힘들어 하는 것을 종종 TV 에서 보곤했다. TV 프로그램에서 자주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중2병, 또는 방 문을 걸어 잠그고 아예 부모님들과 대화조차 하지 않으려는 학생들, 그들의 문제점들을 다루고 또 그것을 해결 하려고 무척 노력하고 있다. 여기에 부모와 자녀간의 소통 문제를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개선하는 방법을 간단하게 서술 해 보았다. 모든 소통에는 다 가정마다, 개인마다, 환경마다 다른 요소가 작용하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대화 단절의 원인이 무엇인지 서술하기는 힘들다. 예를 들면 어떤 가정은 아버지의 경제적 무능력이나 알코올 문제 때문에, 어떤 가정은 부모의 이혼으로 인해 할머니 슬하에서 성장하기 때문에, 또한 어떤 가정은 부모가 자녀와 함께 살지만 부모님들의 지나친 기대와, 자녀들을 잘 이해 하지 못한 데서 기인되는 여러가지 원인들이 있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다 언급 할 수가 없지만 아래 도표가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대화 단절 원인 | 세부 내용 | 해결 방법 | 세부 실행 방안 |
세대 차이와 가치관 충돌 | 서로 다른 성장 배경과 사회적 경험으로 인한 의견 차이 | 서로의 입장 존중 | - 자녀의 의견에 열린 마음으로 경청 - 공감과 대화로 서로의 관점 이해 |
디지털 기기의 과도한 사용 | 스마트폰, 태블릿, SNS 등으로 인해 실제 대면 대화 시간이 줄어듦 | 정기적인 가족 대화 시간 마련 | - 일정한 시간 동안 가족끼리 모여 식사나 산책 등 함께하는 시간 마련 - 디지털 디톡스 실행 |
일방적인 의사소통 | 지시나 비판 위주의 대화로 자녀가 감정 표현에 어려움을 느낌 | 비판 대신 격려와 칭찬 | - 긍정적 피드백과 격려의 언어 사용 - 자녀의 노력을 인정하고 칭찬 |
과도한 기대와 압박 | 부모의 높은 기대치와 부담감이 자녀에게 정서적 거리와 스트레스를 유발 | 전문가 상담 활용 | - 가족 상담 또는 심리 전문가의 도움 받기 - 정서적 지원과 대화의 질 개선 |
'일상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청년 실업과 20-30대들의 고뇌 (4) | 2025.02.26 |
---|---|
다문화 고부 열전 : 외국인 며느리와 한국 시어머니와의 갈등및 해결 방안 (3) | 2025.02.24 |
경제적 어려움 해결 방안 (1) | 2025.02.24 |
COVID-19 (2020년 3월 3일) (3) | 2025.02.24 |
가깝지 않지만 가까운 우리 (1) | 2025.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