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

Future Education (미래교육)

반응형

미래 교육의 트렌드는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과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며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있다.  내가 학교에 다닐때는 교과서, 노트, 연필등을 사용했고, 교사가 직접 칠판에 강의 내용을 쓰면 학생들은 받아 적고, 학생들은 반드시 학교에 출석 했으며 (physical school building 에 가서 공부), 교사가 과제물을 내 주면 학생은 과제를 풀어서 가져 가고 (assignment or homework), 수업내용에 기초한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현대에서는 디지털 교과서 (digital textbooks; tablet);  가상현실( virtual reality) 이용한 시뮬레이션 (simulation) 실시, 게임으로 학습을 더욱 매력적으로 만드는 게임화(gamification), 온라인으로도 수업이 가능한 온라인 학습 (online learning), 여러가지 교육적인 (educational app) 을 사용 해서 학생들의 참여를 돕는 활동적인 콘텐츠 제공하는 학생들의 학습 성과를 개선하고,  교사의 교육 부담을 줄이며, 개별화된 교육 강화를 위한 교육 기술 학습 개선이 활발 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가지 주요 트렌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전통적인 학습은 교사 중심의 수업에서 미래에는 학습자가 중심이 되는 개별화된 학습 (Personalized Learning) 

  • 전통적인 교육은 일괄적이고, 획일적으로 학생들의 개개인의 능력이나 수준에 관계 없이 획일적인 교육이었으나 미래에는 개별화된 학습이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질것이다.  학생마다 학습 속도와 스타일이 다르기 때문에, 인공지능(AI) 데이터 분석을 이용하여 학생 개개인의 맞춘 개별화된 학습이 이루어질 것이다.  예를 들면 어떤 학생은  수학을 잘하고, 어떤 학생은 영어와 같은 언어 영역에, 어떤 학생은 미술이나 체육과 같은 예체능계에 뛰어난 학습자들이 있을 것이다.  학습을 학생 전체를 대상으로 일괄적으로 가르치기 보다는 개개인의 개별화된 학습에 촛점을 두며, 학습자들의 장점과 부족한점을 잘 이용하여 학습의 효과를 극대화 하는데 주력할 것이다.   

2. 전통적인 학습은 동일한 교재와 학습 자료를 사용 했으나 미래에는 디지털 학습 도구와 플랫폼 사용

  • 온라인 교육 플랫폼 (example : Courera, Udacity, Khan Acdemy) , , 가상 현실(VR - virtural reality), 증강 현실(AR - argumented reality) 등의 기술을 이용한 학습이 일상화 될것이다. 특히 VR AR 실험, 여행, 역사적인 경험 등을 가상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체험할 있어 교육의 접근성을 높일 것이다. 이와 함께, 구독형 학습 서비스나 MOOC(Massive Open Online Courses) 플랫폼도 급성장 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디지털 학습도구는 의학교육, 과학교육, 역사 교육, 외국어 학습에 많은 도움을 가져다 줄것이다.  예를 들면 VR 를 이용해서 가상 박물관 투어를 할 수 있고, VR 를 이용해서 가상 해부학을 실습 할 수 있다.

3. 과거에는 주로 교과서에 의존해서 학습내용을 암송 했으나 이제는 다 같이 공동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협업화고 디지털 도구를 사용해서 서로 커뮤니케이션을 함

  • 학생들은 단순히 정보를 암기하는 것에서 벗어나, 여러 사람이 함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지식, 아이디어, 자원을 함께 공유하며, 협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이메일, 실시간 채팅, 메시징, 줌, 구글 미트, 훼비나 (Webinar) 등 여러 도구들을 사용할 것이다.  협업을 위한 디지털 도구로 구글 문서, MS 오피스,  트렐로(Trello),  아사나 (Asana), 노션(Notion),  지라 (Jira),  깃허브 (Github), 깃랩(GitLab), 구글 드라이브(Google Drive), 드롭박스(Dropbox), 원드라이브(OneDrive) 등이 있다.  커뮤니케이션 중심의 학습으로 가장 많이 사용 되고 있는 것은 Zoom 이다.  

4.  빠르게 변화하는 사회와 직장 생활에 적응하기 위해 평생교육과 재교육이 중요시

  • 과거에 우리는 국민학교, 중학교, 고듷학교, 대학교 등을 졸업하면 일정의 정규 교육이 다 배운것처럼 여겨지고 고등하교나 대학을 졸업하면 당연히 사회로 나가서 직장 생활을 했다.  하지만 30년 전부터 빠르게 변화하는 직업 시장과 기술 발전에 따라, 계속교육과 평생학습이 중요시 되어지고 있다.  계속 교육은 그동안 새로 발달되거나 발전된 과학이나 의학, 공학 분야에 있어서 많은 도움을 주고, 자동차 보험이나 집 보험같은 것도 과거 30년 전과는 그 청책에 있어서 많은 차이가 있기 때문에 계속 교육을 받고 있고, 또 직장내에서도 스킬 업그레이드 교육을 받고 있다.  요즈음은 인터넷과 학습 플렛폼이 워낙 발달 되어서 온라인 강좌를 통해서 언제 어디서든 365/ 7/24 (365일, 1주일 내내, 24시간) 새로운 학습을 배울수 있고 기술을 익힐수 있다.

5.  인공지능(AI) 자동화의 역할

  • 인공지능이 왜 미래교육에서 중요한가?  우리가 생각할때는 인공지능이 우리가 묻는 질문에 모든 답을 다 제공해 주기 때문에 학습자들에게 별로 도움이 안될것 같이 생각 되어질수 있다.   하지만 인공지능이 학습자들에 개념을 설명해주고, 학습 내용 질문을 해결하고, 또한 피드백까지 실시간에 한꺼번에 다해준다.  사실 학생이 무엇을 물어야 할지 모르면 그것까지도 인공지능이 예를 들어 그 질문을 유도해 나간다.  그리고 시험 및 과제도 자동적으로 채점하고 시험문제도 자동적으로 생성해준다.  일대일 튜터링도 가능하고 심지어 외국어 학습을 할때 실시간 번역과 발음도 교정 해 준다.  ChatGpt 를 사용하면 학습자료를 자동으로 생성하거나 요약할 수 있어 학습 시간을 단축 시킬수 있다.  학생마다 최적화된 학습 계획 제공해준다.

6.  전문적인  기술자가 필요로 하는 Hard skill 보다는 soft skill 을 발달 시키는데 도움이 되는  사회적 정서적 학습 (SEL,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이 필요

  • 과거의 교육은 지식 습득이 무척 중요했다.  지식을 습득해서 그것을 기초로 우리가 고등학교나 대학을 졸업하면 직장을 잡을수 있었다.  또한 학교때 습득한 지식은 빨리 변화 되지 않아서 계속교육이 재교육은 별로 받지 않아도 되었다.  하지만 현재와 미래의 교육은 학문적인 지식뿐만 아니라 사회적, 정서적 기술을 개발하는 중점을 것이다. 학생들은 감정 관리, 공감 능력, 갈등 해결 등과 같은 '소프트 스킬' (soft skill) 배워야 하며, 이는 미래 사회에서 중요한 역할을 것이다.  물론 hard skill 도 있어야 하지만 soft skill 이 중요한 시대가 왔다.  지식은 인터넷 연결만 되면 1-2 분안에 수십만개의 정보를 얻을수 있고 그 내용을 정확히 알 수 있다.  사회가 너무 개별화 되어서 soft skill 이 정말 절실한 시대가 온 것이다.

7. Gobalization (글로벌화) 로 인해서 문화의 격차가 좁아지고 서로의 문화를 이해

  • 우리는 벌써 글로벌 시대에 살고 있다.  Globalization 으로인해 나라와 나라의 벽은 무너지고, 언어와 문화, 음식 등의 벽도 무너지고 있다.  미국 휴스턴에서 9시간 비행기를 타면 네덜란드에 가고 거기서 2-3 시간만 더 타면, 영국, 프랑스, 독일 어디든 다 가는 세상이 왔다.  현재와 미래는 다양한 문화와 언어를 이해하고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국제적인 협력 강조될 것이며, 학생들은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의 소통 능력을 키우게 되는 세대가 올 것이다.

8. 전통적인 교육은 지식 전달, 미래 교육은 지속 가능한 교육 (Sustainable Education)

  • 전통적인 교육은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교사가 학습자들에게 지식을 전달하는데 그 목표를 두었지만, 미래 교육은 지속 가능한 목표로 사회와 경제에 책임을 두는 지속 가능한 목표에 촛점을 두는 교육이 될 것이다.  지속 가능한 목표란 환경보호, 사회적 책임, 경제적 지속 가능성을 포함한 지속 가능한 발전 목표 (SDG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를 교율에 반영하는 개념이다.   이는 학생들에게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미래 세대가 환경과 시화를 고려하는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한다.1) 환경 지속 가능성 : 기후변화, 에너지 절약, 자원 재활용 등의 주제를 교육에 포함하여 학생들에게 환경 보호의 중요성을 가르침 - 플라스틱 사용 줄이기 및 재활용 교육, 재생 가능 에너지 (태양광, 풍력) 학습
    2) 사회적 책임 : 인권, 공정한 노동 문제 등을 교육하여 학생들이 글로벌 시민으로서 책을 갖도록 도와 주는것 - 인권  및 젠더 평등교육, 공정 무역 (Fair trade) 개념 이해, 지역 사회 봉사 및 기부 문화 형성
    3) 경제적 지속 가능성 : 책임있는 소비, 윤리적 경영,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 모델 등을 배우도록 하여 장기적으로 경제적 안정을 유지하는 방법을 익히게 하는것 - 윤리적 소리 (공정 무역 제품 구매 등) 교육, 재무 관리 및 경제 교육

9. 실시간 학습 데이터를 기반으로 교육 정책 수립 

  • 과거에는 교육 목표를 미리 설정해서 학습자들이 그 목표에 도달 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서 중간고사와 기말고사로 나누어서 학습을 평가 했는데, 최근에는 학생들의 학습 진행 속도를 실시간으로 볼 수 있고 또한 그 학습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를 기반으로 효과적인 교육 정책을 수립 한다.

10. 융합 교육 (STEM/STEAM 교육)

  • 과학(Science), 기술(Technology), 공학(Engineering), 예술(Arts), 수학(Mathematics) 결합한 융합 교육이 중요해지고 있다. 이는 창의적 문제 해결 능력과 혁신적인 사고를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으며, 특히 직업 시장에서 요구하는 능력들을 배양하는 데 기여 하게 될 것이다.
  • 왜 융합교육이 중요할까?  무엇때문에 자주 융합교육을 강조할까?  예를 들면 과학, 기술, 공학, 수학은 같은 부류로  핵심 학문으로는 si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 등으로 논리적 사교, 문제해결력, 실용적 기술 습득등에 중점을 둔다면 위의 4가지 학문에 arts (예술) 을 더하면 디자인, 창의적 표현, 감성적 접근까지 포함한 종합적 학습이 강조되고 이것은 미래에 기능뿐만 아니라 실생활에 있어서 필요한 디자인까지도 얻을수 있을것이다.  기능좋은 스마트폰보다는 기능도 좋고 디자인도 예쁜 스마트 폰이 아마 우리들에게 더 인기가 있을 것이다.

결론

미래 교육은 기술, 사회적 요구, 그리고 개별 학습자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점차 다양화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교육의 접근성과 효과를 높이며, 학습자들이 나은 미래를 준비할 있도록 교사와 부모는 미래 직업 시장에서 요구 되는 핵심 부분을 미리 알아서 준비 시켜 주는게 바람직하다.

증강현실교육, 가상현실과 같이 다양한 감각을 지원하는 3 차원의 입체적 객체를 통해 현실감 있는 정보를 제공

 

 

**** 여기에 나오는 일부 정보는 Chatgpt 의 도움을 받아서 작성한 글임을 알려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