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관리

전립선 암 (1)

반응형

전립선암은 남성의 전립선 (정액의 일부를 생성하는 기관)에서 발생하는 암으로, 주로 중장년 이후의 남성에게서 많이 발생한다고 한다.  전립선암의 주요 원인과 치료법을 정리해 보면 주로  다음과 같다. 

 

1. 전립선암의 주요 원인
    1) 나이 - 50 세 이후 발병률이 급격히 증가
    2) 가족력 - 아버지나 형제 중 전립선 암 환자가 있다면 위험이 2-3 배 증가
    3)  유전적 요인 - 유전자 돌연변이로 인한 원인
    4) 식습관 - 고지방, 특히 동물성 지방 섭취가 많은 식단은 위험 증가와 연관,  채소, 과일 섭취가 적은 것도 영향을
                    줄 수 있음
     5) 호르몬 -남성 호르몬이 암세포 성장에 영향을 줄 수 있음

2.  전립선암의 주요 증상

  • 골반 하부의 둔한 통증 (Dull pain in the lower pelvic area)  
  • 잦은 배뇨 (Frequent urinating)  
  • 배뇨곤란통증타는 듯한 아픔또는 소변의 흐름이 약함  (Trouble urination, pain, burning, or weak urine flow)
  • 소변에 혈액이 섞여 있음 (혈뇨)  (Blow in the urine)  
  • 고통스러운 사정 (Painful ejaculation)  
  • 허리엉덩이허벅지 등에 통증 (Pain in the lower back, hips or upper things)  
  • 식욕감퇴 (Loss of appetite) 
  • 체중감소  (Loss of weight) 
  • 뼈고통 (Bone pain) 

3. 전립선암의 치료법
    치료는 암의 병기(진행 정도), 환자의 연령 건강 상태, 암의 악성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

   
  1)  감시요법 (Active Surveillance)
       - 저위험군의 초기 전립선암 환자에게 적용

       - 정기적으로 조직검사 등를 통해 관찰
      - 암이 진행되면 치료로 전환

    2) 수술 (근치적 전립선절제술)

  • 전립선을 완전히 제거하는 수술.
  • 개복, 복강경, 로봇수술(Robotic-assisted) 다양한 방식 존재.
  • 부작용: 요실금, 발기부전 가능성 있음.

    3) 방사선 치료

  • 외부 방사선 치료(EBRT) 또는 근접 방사선 치료(브라키세라피).
  • 수술이 어려운 환자나 수술을 원하지 않는 경우 선택.

   4) 호르몬 치료

  • 남성호르몬(테스토스테론) 억제하여 암세포의 성장을 차단.
  • 주사나 약물로 시행, 전이된 전립선암에도 자주 사용됨.

  5)  항암 화학요법

  • 전이가 있는 고위험 환자에게 사용.
  • 도세탁셀(docetaxel) 사용.

  6) 표적 치료 면역 치료 (진행성 암에 사용)

  • PARP 억제제, 면역관문 억제제 일부 유전자 변이가 있는 환자 대상.
    ( PARP는 전립선암을 포함한 여러 암 치료에서 중요한 타깃이 되는 단백질을 말한다)

**** PARPPoly (ADP-ribose) polymerase의 약자로, DNA 손상 복구에 관여하는 효소.

  • 세포가 스트레스나 외부 자극(방사선, 항암제 등)으로 인해 DNA가 손상되면,
  • PARP 효소가 DNA 수선을 도와 세포가 살아남도록 한다.

prostate cancer cause

source : https://www.urologyhealth.org/urology-a-z/p/prostate-cancer 

https://americancancerfund.org/?s=prostate&tcb_sf_post_type%5B%5D=post&tcb_sf_post_type%5B%5D=page

https://www.cancer.gov/types/prostate

 

'건강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립선 암 (3) - 단계별 치료의 장, 단점  (0) 2025.05.08
대장암 환자에게 좋은 음식 (2)  (0) 2025.05.07
탈장 (Hernia) (1)  (0) 2025.05.05
고혈압 환자 식단표  (0) 2025.05.03
고혈압  (2) 2025.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