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좋아하는 TV 프로그램 중의 하나가 다문화 고부열전이다. 나 자신이 미국에서 다문화를 형성하고 살았고 지금도 살고 있기 때문이다. 나도 처음에는 사회적, 문화적, 언어적 차이로 많은 어려움을 겪었고, 지금도 여전히 겪고 있다. 외국에서 한국 남편 한분만 바라보고 한국으로 시집을 왔는데, 막상 한국에 와 보니 자신이 생각 했던 것들과 많이 다른 가정 환경과 또한 가족 관계의 갈등으로 힘들어 하는 외국인 며느리들의 모습이 종종 TV 프로그램 전파를 타고 우리 안방으로 들어오곤 한다. 물론 한국 시부모님들이 며느리와 아주 좋은 관계를 가지고 지낼뿐만 아니라, 경제적으로 어려운 가난한 며느리의 친정에 집도 사 주고 조그마한 가게도 사 주고, 또한 친정 가족들과 좋은 관계를 가지고 지내는 가정도 종종 있다. 하지만 많은 외국인 며느리들은 실제로 시어니와 많은 갈등과 관계적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그럼 외국인 며느리만 문화적, 정신적, 사회적 갈등과 관계적 소통의 어려움을 겪을까? 아니다. 시어머니 역시 여러모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조금이라도 더 열심히 해서 자식들을 도와 주고 싶고, 손녀 손자들을 돌봐 주고 싶고, 며느리에게 경제적인 관념을 심어 주기 위해 "돈 아껴 쓰라" 라는 잔소리도 해 가시면서 며느리와 언어적, 문화적, 관계적 어려움을 극복 할려고 노력하고 있다. 시어머니는 자신이 살아오신 과거의 환경과 지금의 세대와의 차이를 거의 인지 하지 못하시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한국의 고유한 문화와 예절등을 며느리에게 가르켜 가면서 때로는 강요해 가면서 (시어님은 인지하시지 못하고 계심) 억지 관계를 유지하시고 계시기도 한다. 한국 시어머니와 며느리와의 갈등은 웬지 그 간격을 좁히는게 힘들어 보인다.
아래 도표는 외국인 며느리와 한국 시어머니 사이에 발생할 수 있는 주요 갈등 요인은 무엇이며 해결 방안에 대해 서술한 것이다. 약간이라도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갈등 요인 | 설명 | 해결 방안 |
문화적 차이 | 언어, 식습관, 예절 등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으로 인한 오해 발생 | 상호 문화 교육, 문화 교류 프로그램 참여, 개방적 대화 증진 |
의사소통 문제 | 언어 장벽과 의사소통 방식의 차이로 인한 정보 전달의 어려움 | 적극적 경청, 통역 지원, 비언어적 소통(제스처 등) 활용 |
역할 및 기대 차이 | 가족 내 역할, 책임 분담 및 기대치가 달라 발생하는 갈등 | 명확한 역할 분담, 기대 사항 공유, 합의 도출 및 협의 통한 조정 |
세대 간 가치관 차이 | 전통적 가치와 현대적 가치가 충돌하여 발생하는 의견 차이 | 상호 존중, 타협, 가족 상담이나 중재자의 도움을 통한 의견 조율 |
편견 및 선입견 | 외국인에 대한 고정관념과 선입견으로 인한 부정적 시각 형성 | 개방적 태도, 경험 공유, 긍정적 상호작용 및 다양한 관점 수용 촉진 |
'일상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terpreter (통역사) (2) | 2025.02.26 |
---|---|
한국의 청년 실업과 20-30대들의 고뇌 (4) | 2025.02.26 |
경제적 어려움 해결 방안 (1) | 2025.02.24 |
부모와 자녀간의 소통문제 (1) | 2025.02.24 |
COVID-19 (2020년 3월 3일) (3) | 2025.02.24 |